나비 프로젝트(Naby project)

Naby project

나비 프로젝트 (Naby project)

나비 프로젝트의 음악은 남원 대강면에 사는 팔십에 가까운 농부의 소리로부터 시작되었다. 밭을 일구며 불렸던 노래를 모티브로 음악 작곡 작업을 진행했다. 이 농부는 젊은 시절 동편제 판소리 맥을 잇고 있던 강도근 명창에게 판소리를 배웠던 농부였다. 이 농부는 음악 재능이나, 예술 재능이 있던 사람은 아니었다. 농부의 청년 시절에는 판소리가 지금의 아이돌 유행가처럼 따라 하고 싶은 대상이나, 음악 문화였을 것이고, 판소리의 사설과 목소리가 가슴에 와닿아 시작했을 것이다. 예술 재능이나 교육 환경에 의해 시작된 것이 아니라, 그저 따라 해 보고 싶은 마음에서 시작되었을 것이다. 강도근 명창의 판소리를 직접 녹음하거나 기록하며 판소리를 배웠다. 강도근 명창이 이 농부에게 남긴 유언은 “자네를 무대에 세워 보지 못하고 가네, 미안하네!”라는 말을 남기고 임종을 맞지 하였다. 이 농부가 판소리를 배울 때 기록물, 강도근 명창의 녹음 음원을 국립국악원에 기증하며 강도근 명창의 마지막 제자라는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 또한 이 농부는 판소리를 배운 연으로 남원 방송국에서 일하는 꿈을 꾸었을 것이다. 이 농부의 열정을 알아본 남원 방송국 김 국장의 권유로 고등학교 졸업장이 있다면 남원 방송국에 취직할 수 있겠다는 제안을 받았다. 그러나 이 농부는 고등학교 졸업장이 없었고 최종 학력이 중학교였다. 결국 방송국에 취직할 수 없었다.

내가 이 농부에게 감정이입이 되는 이유는 나와 닮아 있기 때문이다. 나는 음악 재능, 악보를 볼 수 있는 눈도 없다. 고등학교 때 막연하게 음악과 관련 일을 하겠다는 나의 꿈이 지금 여기까지 와 있다. 나는 천재적인 음악 재능과 예술 재능이 있는 사람들 주변에 있었다. 예술가의 재능을 부러워하며 살아오다, 나의 길을 찾아 소리의 길을 걷게 되었는데, 이 모든 것은 나에게 없어서, 부족해서, 결핍이 만들어 낸 결과이다.

이제 이 농부가 무대에 오른다. 엄마로부터 배웠던 노랫소리를 따라 젊은 연주자들과 지금, 이 시대에 살고 있는 작곡가의 귀와 마음을 통해 재해석된 농부의 노래가 무대에 오른다.

강도근 명창의 임종에 마지막 남긴 말이 생각난다. 남원 숲해설가 김귀옥씨 이야기가 생각난다. “ 장미는 장미라서 예쁘고, 별꽃은 별꽃이라서 아름다워”.

나비프로젝트 (Naby Project)

Culture(문화)는 “경작하다, 가꾸다, 재배하다” 라는 어원에서 나왔다. 문화는 씨앗을 뿌리고 가꾸고 생명을 키워내는 일이다. 문화는 땅에서 왔으며, 엄마로부터 왔다. 엄마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오던 소리가 땅에 씨앗을 뿌리고, 생명을 키워내며 삶과 죽음을 소리와 함께 했다. 노래 불러 땅을 일구고, 대들보를 올릴 때도 소리와 함께 하며 죽음을 맞이할 때도 소리와 함께 보낸다.

라인업


작곡_김현석(지음단조가), 연꽃필래, 새타령) / 서현정 (나비야_산아지타령_사호소리, 아리랑)

작가_김병오 449project(지음단조가 기원문)

음악감독: 신현석

연주자 :양기권(노래),신현석(장구, 범패구음) , 박미진(노래, 춤), 서현정(건반), 정연수(기타), 김윤성(사운드 디자이너)

연출구성: 전광표(소리여행가)


Track List / Runtime 30min

01. 대지(지음단조가)

02. 나비야_산아지타령, 사호소리

03. 연꽃필래

04. 아리랑

05. 새타령


공연일시 및 장소(남원 춘향제)

5/1 완월정(개막공연) 20:00

5/2 광한루원 완월정 11:00 / 13:00

5/3 예루원 17:00, 사랑의 광장 20:00

5/4 예루원15:00, 사랑의 광장 20:30

Next
Next

지금, 이 시대의 소리에 귀 기울이기